본문 바로가기

오탈자 정보

[DNS 실전 교과서]_오탈자

현재까지 발견된 이 책의 오탈자 정보와 오류(출간후 원서 증쇄에 따른 갱신까지 포함됩니다), 그리고 보다 매끄러운 문장을 위해 수정한 내용을 안내해 드립니다. 번역과 편집 시에 미처 확인하지 못하고 불편을 끼쳐드려 죄송하다는 말씀을 드립니다. 아래의 오탈자 사항은 추후 재쇄 시에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이외의 오탈자 정보를 발견하시면 옮긴이(qqaa787@naver.com)나 출판사(help@jpub.kr)로 연락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최종수정일자: 2022년 1월 17일 
1쇄본 오탈자

136쪽 COLUMN '글루 레코드가 필요한 이유' 아래에 다음의 새로운 칼럼 추가

[COLUMN] HTTPS/SVCB 리소스 레코드의 개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새로운 리소스 레코드로 HTTPS 리소스 레코드SVCB 리소스 레코드의 표준화가 IETF에서 진행되고 있습니다.
HTTPS
리소스 레코드에는 웹 서버의 호스트 이름, 서버별 우선도, 접속을 위한 정보 등 HTTPS 서비스 제공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설정합니다.
아래에 외부 CDN(Content Delivery Network) 서비스를 이용해 https://example.com/이라는 URL로 웹 사이트를 공개할 때의 설정 예시를 나타냅니다. 이처럼 HTTPS 리소스 레코드는 외부 서비스 이용자와 제공자 양쪽의 권한이 있는 서버에 설정합니다.

 

CDN 서비스 이용자(example.com) 존의 설정 예시(에일리어스(alias) 모드)

@        7200 IN HTTPS 0 pool.svc.example.net.

example.comHTTPS 서비스는 pool.svc.example.net로 제공
 (CNAME
을 설정할 수 없는 존 정점(1106에서 설명)에도 설정 가능)

 

CDN 서비스의 제공자(svc.example.net) 존의 설정 예시(서비스 모드)

pool     7200 IN HTTPS 1 h3pool alpn=h2,h3 ech=”123…”
                          HTTPS 2 .            alpn=h2 ech=”abc…”

pool.svc.example.netHTTPS 서비스는 h3pool(우선도 1)pool(우선도 2)로 제공
h3poolHTTP/2HTTP/3, poolHTTP/2에 대응
서버로 HTTPS 접속하기 위한 ECH(Encrypted Client Hello) 정보

 

SVCB 리소스 레코드에는 서비스 이용 시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서비스마다 설정합니다. DNS 서비스에서는 접속처의 풀 리졸버나 권한이 있는 서버가 DNS over TLS/DNS over HTTPS(14장에서 설명)를 지원하고 있는지 확인할 때 이용하는 방법이 제안되었습니다.


202쪽 그림 8-11 'Zonemaster'를 다음 그림으로 변경

 

 

202쪽 3~4째줄에서 
체크 결과는 대상 도메인 이름의 상태에 따라 파랑(Info), 노랑(Notice), 주황(Warning), 빨강(Error, Critical)의 총 네 가지 색으로 구분됩니다. 파랑이 아니더라도

체크 결과는 대상 도메인 이름의 상태에 따라 초록(Info), 파랑(Notice), 주황(Warning), 빨강(Error, Critical)의 총 네 가지 색으로 구분됩니다. 초록이 아니더라도

 

202쪽 밑에서 6번째 줄~5번째 에서 

그림 8-12는 kisa.or.kr에 대해 일반적인 체크를 한 결과입니다. 전체 94개 항목 중 Info가 77개, Notice가 4개, Warning이 13개이고 Error, Critical은 0개입니다.

그림 8-12 kisa.or.kr에 대해 일반적인 체크를 한 결과입니다. 전체 86개 항목 중 Info69, Notice 4, Warning 13개이고 Error, Critical 0개입니다.


203쪽 그림 8-12 'Zonemaster로 kisa.or.kr을 체크한 화면'을 다음 그림으로 변경

 

 


323쪽 셋째 단락 1번째 줄에서

QNAME minimisation 실험적 프로토콜로서 RFC 7816으로 표준화되었습니다.

QNAME minimisation2016년 3월에 실험적 프로토콜인 RFC 7816으로 발행되어 2021년 11월에 표준 프로토콜인 RFC 9156으로 표준화되었습니다.


325쪽 7번째 줄~8번째 에서

Knot Resolver Unbound는 권한이 있는 서버의 버그에 의한 장애나 이름 풀이 효율의 저하를 회피하기 위해서 RFC 7816에 기술된 회피책에 더해, 추가적인 문제의 회피책도 같이 구현했습니다.

Knot Resolver Unbound는 권한이 있는 서버의 버그에 의한 장애나 이름 풀이 효율의 저하를 회피하기 위해서 RFC 7816에 기술된 회피책에 더해, 추가적인 문제의 회피책도 같이 구현했습니다. 또한, 그 운영을 바탕으로 얻은 지식은 RFC 9156에 정리되어 있습니다.


329쪽 첫 단락과 COLUMN 사이에 다음 문장 추가

OS에서 DNS over HTTPS를 지원하는 움직임도 활발해지고 있습니다. Windows 11은 네트워크 어댑터 설정에서 DNS over HTTPS 설정이 가능하며 iOS 14 및 macOS Big Sur 이후 버전에서도 DNS over HTTPS가 기본적으로 지원됩니다.


330쪽 표 'DNS와 관련한 RFC' 밑에서 8번째 행을 삭제하고, 

RFC 7816 2016년 3월 QNAME minimisation의 사양 14장 02절

제일 마지막 행(RFC 8945) 뒤에 다음 행을 추가

RFC 9156 2021년 11월 QNAME minimisation의 사양 14장 02절